|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26 15:25
    
        	      
	 그 말씀이 사실이라면 저는 그게 더 옳은 방안이라 생각합니다.
 
지금 스타2에서 가장 중요한건 대회를 늘리는 거니까요. 그나저나 과거 박상현 안준영 채정원 해설 콤보가 너무 좋았는데 ㅠㅠ 이벤트성이라도 해설 한번 안해주시나요 보고 싶네요 
	16/12/26 15:26
    
        	      
	 스튜디오 결승은 못내 아쉽긴 하네요.
 
그래도 올해 GSL의 플랜에는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스2에 대한 사랑, 열정 잃지 않아 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16/12/26 15:43
    
        	      
	 괜찮은 방식이군요
 
내년에도 멋진 경기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유튭으로 챙겨보는 입장에서 화질은 항상 아쉽네요 옛날 GSL의 화질이 그립습니다... 
	16/12/26 17:00
    
        	      
	 한 가지 개인적으로 궁금한게 있습니다. WCS 2017 시즌부터 코드A가 예선이 되는데 GSL도 해외지역 WCS 처럼 우승자만 본선 시드를 유지하고 전원이 예선과 챌린지를 통해서 코드S로 선발하는 포멧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16/12/26 18:48
    
        	      
	 전 올해 치른 스타크래프트day 같은 야외결승을 기대했는데.. 1,2 둘다 보는입장에서 하루가 진짜 알차고 각각 보는재미가 있어서 매우만족했기에 17년도 기대했는데 이렇게되면 1,2 합동결승은 내년엔 없을 가능성이 높겠군요 
 
	16/12/27 13:30
    
        	      
	 역시 소통은 이렇게 해야 되는거죠. 감사합니다 채본부장님! (직급이 맞나요?) 
 
그냥 "GSL에서 야외결승은 올해는 없다"라고만 보도자료를 뿌렸다면 팬들의 반발이 장난아니었을겁니다. 이렇게 결정하게 된 배경을 말씀해주시니 참 좋네요. 물론 야외 결승이 단 한시즌도 없다는 건 참 아쉽지만, 그래도 둘중에 하나를 택하라면 당연히 대회가 더 늘어나는게 맞죠. 개인적으로는 연 3회도 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코드 S 시작하면 틈나는대로 직관 가겠습니다! 
	16/12/28 10:58
    
        	      
	 스튜디오결승요? 전 리그자체를1년에 한두번만 해도 감지덕지입니다
 
스타2밖에 하고 보는 게임이 없는 저같은 사람을 위해 절대 놓지말아주세요 뱅빠라 최근엔 asl도 가끔 봅니다만 저한텐 스2가 우선입니다 GSL 포에버~~ 
	16/12/29 10:18
    
        	      
	 이해해주시고 소통해주신 모든 PGR21 회원 여러분들께 감사합니다.
 
2017 GSL S1 예선이 끝났습니다. 이제 곧 다가올 2017 GSL S1 Code S 많이 사랑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남은 2016년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17/01/01 05:03
    
        	      
	 채본부장님 GSL 로고랑 프릭이라는 이름을 바꿔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프릭이라는 이름은 BJ처럼 안좋은 말로 들릴 수가 있다고 합니다 국내에서만 쓰는 BJ라는 용어는 몰라도 프릭이라는 이름은 게임단 이름이나 경기장 이름에 사용되고 있으니 외국인도 쓸 수 있는 용어라 수정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예: kt 핑거붐) 
	17/01/07 08:23
    
        	      
	 덕분에 잘 보고 있습니다. 채땅굴님이실때부터 팬이었는데, 본부장으로서도 열심히 해주시는 것을 보니 괜히 제가 기분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