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사고였을뿐>은 아주 우연한 계기로 마주친 과거의 망령에 대한 영화입니다. 뒤에 어떠한 문장부호가 붙게될지, 혹은 어떠한 억양과 감정을 담아 말하게 될지에 대해 많은 관객들이 이야기하게 될 영화이기도 할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이라는 전제하에, 저는 약간은 냉소적으로, 마침표를 찍고 싶네요.)
우연히 사고를 통해 마주친 사람이 나와 오래전의 악연을 가진 사람(으로 보였고)이고, 그 사람에게 어떤 복수를 행하기 위한 이 영화는 개인적으로 <쓰리 빌보드>와 반대로 색칠된 닮은 꼴 그림 같습니다. '가는 동안 생각해보는' 행동주의자들의 정의에 대한 영화가 <쓰리 빌보드>였다면, 반대로 이 영화는 '끊임없이 고민하고 의심해야하는' 정의와 선의 행함에 대한 영화이기도 합니다. 이야기의 주제는 다르지만 영화의 결은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드라마인 동시에 일종의 블랙 코미디이기도 한 이야기니까요.
개인적으로 납치한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가 중요한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영화 상의 이야기와 어떤 주제를 구현하는데에는 물론 필요한 설정이기도 하지만, 어떤 측면에서, 결말이 이야기를 마무리 짓는 방식은 어찌보면 그 모든 걸 떠나버린 지점에 있다고도 생각하거든요. 어떤 용서나 연쇄에 대한 이야기, 혹은 해피 혹은 배드 엔딩이라는 이야기라기보단, 결국 그 과거에, 그 사건 내지 사고의 여파에 가까운 방식으로 이야기를 마무리 짓는다고 생각하거든요.
앞서서, 영화가 '끊임없이 고민하고 의심하는' 정의와 선에 대한 영화라고 이야기 했는데, 이 영화는 복수에 대한 영화이면서도, '보복'과는 거리가 좀 있는 영화라고 생각이 들어요. 그러니까, '이 사람이 그 사람이냐'라는 주제에서, 이런 저런 사건과 상황에 휘말리면서 즉각적인 보복이 미뤄지는 이야기이기도 하고, 어찌보면 가장 미온적인, 혹은 가장 의심하는 사람들이 남게되는 이야기이기도 하니까요.
그래서, 어떤 의미로는 이 영화가 일종의 재판 같기도 합니다. 일종의 변호인들과 함께 어떻게 행할 것인가, 그리고, 그것이 정의는 맞는지 끊임없이 의심하고 논의하는 영화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그 모든 이야기가 끝나는 결말에서 영화는 결국 어떤 덫, 혹은 굴레에 빠진 인물을 바라보는 영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상처가 아물어도 흉터는 남기 마련이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