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9 19:33
에어프라이어 내부에 코일(모터, 히터 등)이나 콘덴서(축전기) 같은 유도성 또는 용량성 부하가 포함되어 있는데 플러그를 뽑는 순간, 일시적으로 큰 역기전력(Back EMF)이나 서지 전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순간적인 큰 전압 변화나 스파크가 전기 회로에 비정상적인 전류 흐름을 유발하여, 민감한 누전차단기가 이를 누전 또는 합선의 징후로 오인하고 차단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품 내부의 전원 인입부에 미세한 누전이 있을 수 있고 이러면 그을림은 없을 수 있습니다. 관리실 직원이 플러그에 매거기를 대고 이상 있는 것 같다고 했으니 절연 저항 문제가 제일 유력해 보이긴 합니다.
25/10/29 19:59
상세하고 전문적인 답변 감사합니다.
관리실에서 오신 분들이 매거기 사용법을 정확히 몰라서 티격태격 하는 모습이 잠깐 있어서 못미덥더라고요 크크 아예 as센터 조차 없어서 본사에 택배로 접수 시켜야 하는 상황이라..16리터 대형 에어프라이어인데 말이지요 유튜브로 매거기 사용법을 보니 측정을 잘못한 것 같지도 않고 결국 수리를 맡겨봐야겠네요
25/10/29 22:00
서비스가 힘든 회사라면 비슷한 제품을 주변에서 잠시 빌려 테스트 해보시거나(꼭 에어프라이어 아니더라도 비슷한 W 소비 제품) 매거기를 잠시 빌려서 직접 해보시면 어떨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