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11/05 14:57
감독 코치 월급도 못 줄 학교는 야구 안하는게 맞지 않나;
양심리스 수준인데 이정도면 애들 밥값 이런거까진 알아서 한다쳐도 감코는 학교에서 내야지
+ 25/11/05 15:47
제가 내신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런지 좀 의아한데, 깔아주던 운동부가 빠진들 곡소리 나는 건 바로 위 등급 정도 아닌가요? 그 위에서는 경계선 상에 있는 극소수 외에는 거의 그대로 아닐까 싶어서요.
+ 25/11/05 15:54
학교 예산을 통한 정규 월급: 2013년 학교 체육 진흥법에 따라 운동부 감독의 임금은 학교가 직접 지급하도록 의무화되었습니다
인터넷 찾아보니 이런 글이 있던데 야구는 월급 안주는건가요?
+ 25/11/05 16:04
감독을 체육선생님이 해서 인솔자(대회나 숙소 생활) 느낌이고 코치를 학부모들이 별도 채용해서 훈련하는거 같더라구요
한다리 건너 지방 중학교 야구부 이야기를 들은 내용입니다
+ 25/11/05 16:05
운동부 코치들 급여를 다 학교에서 지급하라는 얘기는 교육청 세금이란 얘기잖아요.
그럼 운동부 말고 보충학습 강사 월급도 내달라고 할거 같아요.
+ 25/11/05 16:10
일단 장비(보호구 스틱 스케이트) 아이스링크 대여 레슨비 정도 고정 비용 이겠네요
일반 스포츠는 운동장에서 하는건데 아이스링크를 빌려야 해서 비용이 급상승 할 겁니다 한때 부자들이 자식들 인맥 쌓으려고 아이스하키 시킨다는 말도 있었죠 일반인은 시작도 못하니까
+ 25/11/05 16:17
(수정됨) 제 아들 둘이 초등학생이지만 하키를 2년째 하고 있어서
시작할때 모든장비 지원(헬멧 보호구 스틱 스케이트 모두 무료) 주3회 초등학생 2명 50만원에 하고 있는데요.. 중등, 고등 선수는 어느정도느는지 감이 잘 안와서요..
+ 25/11/05 16:35
저도 정확한게 아니고 건너 들은거라
중학교 야구부인데 비용을 학부모가 다 대더라 그래서 놀랬다 라고 들었어요 아마 학교의 해당 운동부가 유명해서 동문회나 협회 차원의 지원이 없으면 비용이 상당할겁니다 예로 양궁은 초중고 모두 장비나 코치 비용을 협회가 지원해 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25/11/05 16:24
제 모교에 축구부와 아이스하키부가 있었는데,
축구부는 진짜 운동하는 애들이라면 아이스하키는 돈 많은데 집에서 공부로는 답 없는 애들이 하는 느낌이었습니다.
+ 25/11/05 15:58
여러분은 프로야구단이 자체 유소년구단 만드는 걸 찬성하세요. 그래서 정운찬시절때 유럽축구처럼 자체 구단별 유소년시스템 만들려고 했었는데 허구연은 거기에 미적미적대더라구요. 그양반이 물금고 창단같이 지방고 창단고 창단에 적극적으로 나섰거든요. 한국의 고시엔을 만들고 싶은 욕망도 있어보이고요.
+ 25/11/05 16:22
각급 학교(국공립)에서 운동부는 대부분 별로 필요 없는 존재에요. 약간 아파트 테니스장 오래 써서 독점하는 테니스 동호회 느낌으로, 없애버리고 싶은데 없앤다고 하면 난리가 나니까 계속 운영하는거지, 사실상 학교는 이름과 장소를 빌려주고 각 감독/코치가 그 이름과 장소로 개인 사업하는 곳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종목 불문하고.
+ 25/11/05 16:27
한 친구는 엘리트 중학생 야구선수
한 친구는 다이빙 선수 가 있었는데 이야기 들어보니 그냥 움직이면 돈입니다. 근데 운동선수라 더 움직입니다. 뭔 전지훈련, 뭔 교류전 하는데 그 훈련에 맞는 트레이닝복도 맞춰주더라구요. 그리고 남는 시간인 저녁 등은 아카데미 or 1:1 코치 비용 나가야하니...
+ 25/11/05 21:38
222222 말도 안되는 소리죠.
회사에 자식들 야구시키는 인간이 한 둘인 줄 아나... MSG도 적당히 쳐야지. 사교육으로 치면 어디 대치동 비싼 학원 줄줄이 보내놓고 요즘 사교육비 월 500 넘는다 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