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11/07 00:08:05
Name petrus
Link #1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907268
Subject [스포츠] 이동국은 히딩크 감독 당시 운이 지지리도 없던 케이스 같네요.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 4개 대회를 뛰었습니다.

1999 U20 월드컵 - 2000 북중미 골드컵(1월) - 2000 시드니 올림픽(9월) - 2000 아시안컵(10월)

요즘 같으면 성인무대 데뷔를 하면 U20 대회는 차출을 안 하는 게 관례인데 그런 시절도 아니었고요.

아시안컵 때는 무릎에 테이핑까지 하고 뛰면서 득점왕을 차지하게 됩니다.

문제는 허정무 감독이 사임하고 히딩크 감독이 오면서 다시 처음부터 무한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된 거죠.

몸은 이미 아작이 나 있었는데... 그래서 히딩크 감독 초창기에 전년도 아시안컵 득점왕임에도 컨페더레이션스컵 같은

메이저급 대회에 못 나왔죠. 엔트리 떨어지고 월드컵 기간 동안 술로 세월을 보냈다는 게 지금 보니 이해가 가더군요.

처음에는 이동국이 활동량이 적어서라고만 생각했는데 저 대회 일정을 보니 활동량이 적었던 게 이해가 갈 정도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검은 바다
25/11/07 00:13
수정 아이콘
저도 어릴 때 이동국 잘하는데 왜 국대 안 뽑히는지 의아 했었네요.
55만루홈런
25/11/07 00:40
수정 아이콘
저땐 잘하면 어려도 너무 갈아버렸죠
Jedi Woon
25/11/07 00:48
수정 아이콘
제 군 입대 동기인 이동국 선수 입니다 크크
입소대에서 보면서 참 안타까운 느낌이 들었죠.
그리고 이 글을 보니 고종수가 생각나네요.
매번같은
25/11/07 12:19
수정 아이콘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3/11/19/2003111970199.html
그 유명한 입대짤이 나온 현장에 계셨겠군요 크크.
전기쥐
25/11/07 01:00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잘한다고 몸을 너무 갈아버려서..

그런데도 롱런한게 참 대단합니다.
25/11/07 01:05
수정 아이콘
1998년에도 프랑스 월드컵 -> U-19 월드컵 -> 방콕 아시안게임을 소화했죠. 그것도 아마추어가 아니라 프로로 리그 뛰면서...
Ashen One
25/11/07 02:49
수정 아이콘
이동국은 20대엔 기대에 비해 못한다는 생각만 들다가, 30대가 되면서 대기만성한 느낌이...
윤니에스타
25/11/07 10:26
수정 아이콘
아실 분들은 알겠지만, 이동국의 20대는 미들스브러 흑역사도 있었고 커리어가 그닥이었죠. 30대에 최강희 감독을 만나고 그때부터 날라다녔습니다. 아래 댓글도 달았지만, 분명 이동국의 폼이 절정일 때가 많았는데 그때 월드컵을 뛰지 못한 게 너무 아쉽습니다.
25/11/07 03:02
수정 아이콘
커리어초반 혹사가 유망주에게 안좋게작용한 케이스인데
야말도 풀경기보면 전반에 번뜩이다가 후반에 아예 안보이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이선수도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유로때는 안그랬는데
사이버포뮬러
25/11/07 04:28
수정 아이콘
잘 이겨내고 오래 활동해서 다행입니다
시나브로
25/11/07 05:08
수정 아이콘
부활과 롱런 사례 중 대표적인 한국 축구 선수.
2009년 K리그 전북 현대 우승이 꽤나 센세이션 했는데 저 때까지도 최강희는 아예 모르다시피 했고 이동국 때문에 전북 현대에 관심 갔었죠.
윤니에스타
25/11/07 10:27
수정 아이콘
전북 왕조의 주역이죠. 진짜 그때 이동국은 K리그의 레반도프스키 같았다는..
Chasingthegoals
25/11/07 10:59
수정 아이콘
그 때 전북이 우승했던 당시 성남 감독인 신태용이 무전기 매직이 더 기억에 남았습니다 크크크
광개토태왕
25/11/07 05:43
수정 아이콘
아... 전 자만해서 2002년 월드컵때 국대에 안뽑힌거라고 생각했었는데 나름 이유가 있었군요...
태바리
25/11/07 08:34
수정 아이콘
그러면서도 국대 꼬박꼬박 소집시켰죠.
그당시 소속팀 감독이었던 최순호가 제발 그만 좀 불러라 3개월만 시간 주면 몸 제대로 만들어 놓겠다고 인터뷰 까지 했는데도 불러내더니 결과는 최종엔트리 탈락.
엘브로
25/11/07 08:38
수정 아이콘
06년 월드컵에는 폼이 굉장히 좋아 해줄거 같았는데, 부상으로 본선못가서 아쉬웠었죠
10년 월드컵에는 너무 아쉬웠던 물회오리슛....
맥심골드
25/11/07 09:07
수정 아이콘
혹사 수준의 경기를 소화한 것도 맞습니다. 다만 그 와중에 클럽에서 엄청 논다는 얘기가 많이 퍼져있어서 대중들에게 몸 관리 못한다는 선입견이 있었죠.
윤니에스타
25/11/07 10:21
수정 아이콘
히딩크가 그래도 평가전 등등 꽤 많은 경기에 이동국을 출전시켰는데 말이죠. 2002년 초 북중미 골드컵 이후부터 주전 윤곽이 잡힌 걸로 기억하는데 그때부터 이동국의 이름은 없었던 것 같네요. 그래도 엔트리에는 들 줄 알았는데.. 히딩크의 선택은 황선홍 주전에 안정환 서브였네요. 당시 둘이 컨디션이 좋아서 이동국 자리가 없긴 했습니다. 4년 뒤에는 부상으로 낙마에 또 4년 뒤에는 우루과이전은 물회오리슛으로 욕을 바가지로... 이게 다가 아니죠. 또 4년 뒤엔 K리그를 씹어먹고 있었는데 하필이면 감독이 홍명보... 또 4년 뒤엔 감독이 이동국과 불화가 있었던 신태용... 진짜 불운의 아이콘입니다.
나라망친내란당
25/11/07 1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 와중에 늦은 나이에 불려와서 신태용 감독 시절 아시아 예선 중심 잡아 줬던 건 참 고마운 일이죠. 적어도 2014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예선&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은 이동국이 쏠쏠한 역할을 해줬다고 봅니다. 하필 최전성기였던 2006 독일 월드컵이 십자인대 부상으로 출전 못했던 것이 너무 안타까웠죠. 사실 2002년은 혹사 및 본인이 여러가지 멘탈이 흔들릴 일이 너무 많았다고 보고요. 그래도 리그에서는 독보적 레전드여서 그정도만 해도 훌륭한 선수였음은 부정하기 어렵긴 해요.
윤니에스타
25/11/07 10:32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최강희가 감독 되고서 이동국을 썼었죠. 부진한 경기도 있었지만 중요한 경기에서 한방씩 터뜨려 줬고요. 저는 06년 부상은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그냥 누굴 탓할 게 없잖아요 부상은? 그런데 14월드컵과 18월드컵때는 전북에서 폼이 정말 좋았습니다. 당시 국대 주전 스트라이커들이 다 별로였는데(14 박주영;; 18 김신욱;;) 이동국을 아예 안 데려간 건 명백한 실책이라 생각하네요.
과수원
25/11/07 12:24
수정 아이콘
14년은 실책이 아니죠 선택일뿐...흐흐
윤니에스타
25/11/07 12:50
수정 아이콘
그쵸 그놈의 감독 권한;; 02년 히딩크야 성과가 있었으니 그러려니 하는데 14년은 역대 최악의 월드컵을 치렀으니 이가 갈리는 거죠. 그때 홍명보의 의리 때문에 여럿 낙마를 했는데 그중에 생각나는 세 선수가 이동국, 이명주, 박주호네요. 왠지 홍명보는 내년에도(그전에 짤리길 바라지만..) 비슷한 짓을 하지 않을까 해요.
과수원
25/11/07 13:10
수정 아이콘
진짜 저 때 박주영 꽂으려고 했던 짓들은
지금 생각해도 토악질이 나올 정도였습니다
25/11/08 09:47
수정 아이콘
14월드컵에서 홍명보가 여론 비판에도 박주호를 안뽑고 버텼는데 김진수의 부상 낙마로 박주호를 데려갔습니다만
여론 뽑아놓고 챔피언쉽에서도 qpr 벤치였던 윤석영 쓰느라 1분도 출전 안시켰고
14월드컵 직후에 박주호 분데스리가 1314시즌 탑3 왼쪽 풀백으로 뽑혀서 욕을 더 먹었죠.(챔피언쉼 벤치 > 분데스리가 탑3??)
그래서 14월드컵을 잘 기억하는 사람들은 이번에 홍명보가 어떨지 기대를 전혀 안하는 겁니다.
안봐도 뻔하죠.
나라망친내란당
25/11/07 10:22
수정 아이콘
이동국이 타고난 선수 였기 때문에 20대에 저리 혹사 당하고도 결국 살아남아 40대 까지 선수 생활을 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하필 떠오르던 시기가 한국 축구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순간이어서 그게 너무나 본인에게는 아쉬웠겠죠.

정말 가진 재능에 비하면 그 꽃을 다 못 피운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런 아픔이 있었기 때문에 리그 레전드가 될 수 있었다고 보고요.
25/11/07 10:24
수정 아이콘
막판에 몸을 회복을 했어요. 이동국의 마지막 평가전도 좋았어요. 그런데 그전에 결정했어요. 히딩크 혼자결정이 아니라 스탭들 다 모여 결정했어요. 그때 당시 스탭 전부다 운동량이야기 했어요.
나라망친내란당
25/11/07 10: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운동량은 일종의 핑계라고 봅니다. 실제로 황선홍도 많이 뛰는 스타일은 아니었죠. 히딩크 감독이 포지션 별로 비슷한 스타일을 원하지 않았고, 이동국-김도훈은 황선홍과의 경쟁에서 밀린 게 컸다고 봅니다. 당시 황선홍은 우리나라 스트라이커 중에 컴플리트 포워드에 가까운 스타일이어서 결정력, 포스트 플레이, 연계 플레이, 공간 창출 등 장점이 가장 많았어요. 그러니 선발로 쓰인 겁니다. 이동국은 당시 포스트 플레이와 공간 창출 면에서 약했고, 김도훈은 결정력은 뛰어났으나 골에어리어를 벗어났을 때 영향력이 약했죠. 최용수는 독수리슛이 임팩트가 커서 그랬을 뿐, 포스트 플레이 만큼은 확실했고, 공간 창출도 준수했습니다. 안정환은 전형적인 처진 스트라이커여서 유형상 겹치는 선수가 없어서 뽑혔죠.
25/11/07 13:3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전부 미친 듯이 뛰었어요. 이영표왈 히딩크 이전과 이후의 안정환은 다르다. 그당시 제일 잘 안뛰던 안정환도 열심히 뛰었죠. 당시 월드컵 명단에 들기위해 파워프로그램 통과 기준이 있었어요. 거기에 홍명보 황선홍도 통과해야 했죠. 그래서 월드컵 할때마다 왜 2002만큼 못 뛰냐 파워프로그램가동해야한다 이야기 나왔죠
25/11/07 10:33
수정 아이콘
프로 세계에서 운으로 모든걸 설명 하려는건 어리석은 생각이라고 보네요.
쿠유리
25/11/07 15:19
수정 아이콘
축구와는 동떨어진 댓글이지만
본문에 나오는 그 운이 대신 다른곳에서 터졌다고 봅니다.
병역비리, 룸싸롱 이동국이 가족예능에서 대박이 아빠로 터지는 걸 보면...
SkyClouD
25/11/07 17:25
수정 아이콘
청소년때부터 갈려서 20대 초반에 최고 컨디션으로 뛰어본 적 자체가 없는 선수죠.
25/11/07 19:01
수정 아이콘
10월드컵에서 그 골만 넣었으면 더 합당한 평가를 받았을텐데
카바라스
25/11/07 22:22
수정 아이콘
히딩크때는 결국 히딩크가 픽을 안한거고 최대 불운은 아드보카트때였죠. 기량도 절정에다 황태자였는데 하필 부상이 발목을 잡은. 06월드컵 자체도 이동국이 있었다면 16강을 갔을듯..
오타니쇼헤이
25/11/08 11:39
수정 아이콘
톱자원을 안데려가는데는 이유가 있지않을까요
골결 데이터가 낮다든가
25/11/08 13:19
수정 아이콘
당시 경쟁자가 황선홍, 최용수였던 것도 클 겁니다. 이동국은 혹사로 저점인 시기였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578 [스포츠] 이동국은 히딩크 감독 당시 운이 지지리도 없던 케이스 같네요. [35] petrus8376 25/11/07 8376 0
90577 [연예] 숙소에 전기가 끊겼다는 광수네 소속사 아이돌.pg [25] Myoi Mina 10783 25/11/06 10783 0
90576 [스포츠] 김혜성 입국 인터뷰 중 김선생 보고 폭발 [246] 핑크솔져14964 25/11/06 14964 0
90575 [스포츠] 호날두를 긁히게 만든 메시의 인터뷰.txt [29] insane7420 25/11/06 7420 0
90574 [스포츠] [KBO] 2025 트레이드 한시즌 경과 현황 [17] 손금불산입7249 25/11/06 7249 0
90573 [스포츠] [KBO] 노시환 "폰세, 와이스 둘 다 떠날지도" [75] 손금불산입9012 25/11/06 9012 0
90572 [스포츠] [해축] 유망주가 경기를 터뜨림.mp4 [5] 손금불산입4416 25/11/06 4416 0
90571 [스포츠] [해축] 최근 바르셀로나의 불안 요소.mp4 [8] 손금불산입3233 25/11/06 3233 0
90570 [스포츠] [해축] 펩시티 챔스 홈 23경기 연속 무패.mp4 [4] 손금불산입2732 25/11/06 2732 0
90569 [연예] 뉴진스 소송 완패, ‘민희진 카톡’이 핵심 증거였다 [36] petrus7517 25/11/06 7517 0
90568 [스포츠] 'GOAT 호소인' 호날두 "메시가 나보다 낫다고? 전혀…이제는 겸손하지 않겠다" [112] 전기쥐8596 25/11/05 8596 0
90567 [스포츠] 프로야구단이 축구처럼 유스클럽식으로 간다면... [27] leeman7396 25/11/05 7396 0
90566 [스포츠] '울산프로야구단' 내년부터 퓨처스리그 참가.. 울산시·KBO 협약 [76] 及時雨7216 25/11/05 7216 0
90565 [스포츠] [KBO] FA 자격 선수 명단이 나왔습니다. [49] Story6855 25/11/05 6855 0
90564 [스포츠] 아이들 야구시키는데 드는 비용.jpg [47] 핑크솔져9447 25/11/05 9447 0
90563 [스포츠] 피츠버그 배지환 웨이버 공시 [17] MeMoRieS5458 25/11/05 5458 0
90562 [스포츠] [KBO] 3년 연속 규정이닝, 10승 투수 [25] 손금불산입3710 25/11/05 3710 0
90561 [스포츠] [해축] 2025 골든 보이 수상자는 데지레 두에 [6] 손금불산입1789 25/11/05 1789 0
90560 [연예] 2025년 11월 1주 D-차트 : 골든, 13주 1위 타이기록 달성! 하츠투하츠 5위-르세라핌 10위 진입 [8] Davi4ever1662 25/11/05 1662 0
90559 [스포츠] KIA, 윤도현 대퇴부 부상으로 4주간 재활... [25] 캬라3411 25/11/05 3411 0
90558 [스포츠] 요새 박지성 축구지능 잘 알리고 있는 두 채널 [16] 시나브로5741 25/11/05 5741 0
90557 [스포츠] [해축] 또 공격수가 없는데 어떡하죠.mp4 [19] 손금불산입3677 25/11/05 3677 0
90556 [스포츠] [해축] 교체로 성사된 챔스 코리안 더비.mp4 [10] 손금불산입3173 25/11/05 31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